카테고리 없음

유도 되치기 본의 특징과 효과

유.능.제.강 2023. 9. 19. 03:21

되치기 본의 특성

첫째, 유일성: 되치기 본은 한국에만 있는 유도의 유일한 본이다.
 
둘째, 구조면: 되치기 본의 구조는 기존 15가지 기술의 선 기술(standing technique)중심 으로 되어 있으면 1,2,3교로 대분화되고 각 교마다 손기술, 허리기술, 발기술 등이 각각 포함 되어 5가지 기술들로 편성되었다.
 
셋째, 수련면: 선 기술의 연락과 변화를 주로 한 기술로서 기술 연습에 중요한 요점이 된다.
 
넷째, 효과면: 기술 공.방의 이론을 이해하고 동시에 기술 동작을 체득하게 되는 효과가 있 다.
다섯째, 체력면: 본 연습과정에 있어서 호흡조절, 동작의 완. 급의 조절, 민첩성 등을 통하여 운동발현능력, 지속능력, 조정능력 등의 전면적 체력요소를 육성할 수 있다.
 
여섯째, 정신면: 잡기. 받기의 예법, 순서, 잡기와 받기의 약속 이행, 기술의 원리, 정확성, 바른 자세 등을 통하여 정신면이 육성된다.
일곱째, 홍보면: 본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범과 매스미디어를 통하여 유도의 보급. 홍보에도 유익하다.
 
 

되치기 본의 효과

첫째, 되치기 본을 통하여 한국 유도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세계 유일한 한국적 되치기 본에 대하 자긍심을 높일 것이다.
 
셋째, 기술에 대한 공격과 방어의 이론을 이해하고, 동시에 기술 동작을 체득하게 되는 효 과가 있을 것이다.
 
넷째, 메치기 기술의 연락과 변화를 위주로 한 기술로서, 기술 연습에 중요한 키포인트가 된다.
 
다섯째, 유도 원래의 기술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일 것이다.
 
여섯째, 지도자 강습회 및 승단심사 시, 통일된 본으로써 직접적으로 적용될 것이다.
 
일곱째, 본 연습과정을 통하여 호흡조절, 동작의 완. 급의 조절 등의 능력을 증진시킴으로 전면적인 체력과 아울러 예절, 순서, 잡기와 받기의 약속 이행, 정확성, 바른 자세 등을 몸소 체득하게 됨으로써 정신면이 육성될 것이다.
 
여덟째, 체계적으로 구성된 본은 대내. 외적인 시범과 매스컴을 통하여 유도의 보급. 홍보에 도 기여할 것이다.
 
 

4.잡기. 받기의 위치

되치기 본에 있어서 잡기. 받기의 위치는 상석을 향해서 잡기는 오른쪽, 받기는 왼쪽에 위치한다.(상석 쪽에서 보면, 잡기는 왼쪽, 받기는 오른쪽에 위치한다.)

 

인사 : 잡기와 받기는 정면을 향하여 인사를 마주보고 입례 인사를 한다.

 

되치기 : 받기의 공격 기술이 정확하지 못했을 때(, 기울기, 지읏기가 미흡하여 걸기 국면으로 연결이 원활하게 되지 못한 순간) 또는 공격기술이 미흡하여 성공시키지 못하고 원자세로 되돌아 나가는 순간, 먼저 기술을 건 받기를 되 친다.

 

시작할 때 무조건 잡기가 받기의 깃을 잡는 것을 신호로 하여 시작한다.